지난 포스팅 통해 연금저축보험과 연금저축펀드의 차이를 알려드렸습니다. 오늘은 연금시리즈의 마지막으로 보험회사의 상품들인 연금저축보험과 연금보험의 차이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이 두 상품은 이름도 비슷하여 헷갈리기 쉬운데 오늘 이 두 상품의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2023.02.23 - 적금 좋아하면 연금저축보험, 주식 좋아하면 연금저축펀드
적금 좋아하면 연금저축보험, 주식 좋아하면 연금저축펀드
지난 글을 통해 연금저축이 연말정산에 큰 도움을 드린다는 것을 알려드렸습니다. 오늘은 연금저축 중에 많은 분들이 이용하는 연금저축보험과 연금저축펀드에 대해서 알아보고 어떤 차이점이
dooyoufather.tistory.com
개인연금 현황
개인연금의 현황을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세제적격은 연말 세액공제 가능 상품으로 연금저축 상품들이고 세제 비적격은 그 외 개인연금상품들입니다. 비율은 비슷한데 중요한 건 가입하신 분들이 자기가 어떤 상품을 가입했는지도 모르는 경우도 많고 그 상품이 어떤 혜택이 있는지도 모르시는 분들도 많은습니다. 이 글을 통해 연금저축보험과 연금보험이 어떤 점이 차이가 있고 각각의 상품이 어떤 장점이 있는지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금저축보험
연금저축보험은 위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세액공제이 있습니다. 올해부터 한도가 늘어서 연간 납입금액 600만 원까지 16.5%의 절세 효과가 있으니 연간 99만 원 정도 절약을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연금저축보험을 10년 동안 매 월 50만 원씩 납부하면 거의 1000만 원에 가까운 절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점도 있습니다. 만약 55세 이전에 해지를 하게 되면 지금 까지 받았던 절세 혜택을 다 돌려줘야 합니다. 오히려 내가 냈던 보험료에 그동안 쌓였던 이자까지 합친 금액의 16.5%를 기타 소득세로 내야 하기 때문에 오히려 받은 절세 혜택 보다 더 많은 돈을 세금으로 내야 합니다.
그리고 소득이 가정주부와 같이 소득신고가 필요 없는 사람들에게는 세액 공제 혜택이 없기 때문에 소득이 없는 분들은 이 연금저축보험을 가입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연금저축보험을 잘 유지하여 55세 이후에 연금으로 수령을 할 때에 연금 개시 나이에 따라 3.3%~5.5%까지 세금을 내야 하는 점도 단점입니다. 그리고 국민연금을 포함하여 연간 1200만 원 이상 연금을 수령하게 되면 또 세금을 내야 하기 때문에 지금 현재 절세 효과만을 위해 연금저축보험을 무작장 가입을 하는 것은 지양을 해야 할 것입니다.
연금보험
연금보험은 연금저축보험과 이름은 비슷하지만 연금보험을 가입 후 보험금을 잘 납부하여도 세제 혜택은 하나도 없습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연금저축보험만큼이나 연금보험을 가입을 한 이유가 무엇일까요? 바로 비과세 혜택이 있기 때문입니다.
적금이나 예금을 가입 후 이자를 받으면 우리는 나라에 15.4%의 이자소득세를 내야 합니다. 하지만 이 연금보험은 10년 이상 유지하면 이 15.4%의 이자소득세를 내지 않아도 됩니다. 즉 연금보험은 비과세 상품입니다. 현재 비과세혜택이 있는 금융상품들은 점점 없어지고 있기 때문에 이 연금보험의 비과세혜택은 큰 혜택입니다. 하지만 이 연금보험 역시 10년 이내에 해지를 하게 된다면 이 비과세혜택을 전혀 받을 수 없습니다.
연금보험이 연금저축보험 보다 나은 점이 한 가지 더 있는데 수익률이 더 높다는 것입니다. 연금저축보험은 공시이율이라고 하여 낮은 금리로 굴러가는 상품인데 현재 연금보험은 연금저축보험의 금리보다 2~3배 이상의 금리를 제공하는 상품들이 많기 때문에 이자 수익이 더 많이 발생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 연금보험 중에 변액보험이라고 하여 내가 낸 보험금으로 다양한 펀드 상품에 투자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투자에 대해서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변액보험을 가입을 많이 하기도 합니다
이제 제가 왜 세금 혜택을 일찍 받고 싶으면 연금저축보험, 늦게 받고 싶으면 연금보험을 가입하라고 했는지 이유를 아시겠죠? 연금저축보험이나 연금보험 둘 다 장단점이 있는 상품입니다. 각자 상황을 고려하여 자신에게 유리한 상품을 고르는 것이 더 유리할 것입니다. 하지만 제일 중요한 것은 최소 10년 이상 납부를 해야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절대 무리한 금액으로 가입을 하면 안 된다는 것입니다. 보험은 매 월 항상 같은 금액을 납부해야 합니다. 내가 백수가 되더라도 보험금을 내야 하기 때문에 보험 가입 시에는 항상 신중하게 가입하시길 바라겠습니다.
'돈이 되는 정보 > 보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신보험과 정기보험 중 나에게 맞는 사망보험 찾는 방법 (0) | 2023.03.07 |
---|---|
변액보험, 펀드투자 보다 어떤 장점이 있을까? (0) | 2023.02.26 |
운전자보험 저렴하게 가입 하는 방법 (0) | 2023.02.18 |
정부에서 운영하는 다이렉트 자동차보험 비교사이트 (0) | 2023.02.18 |
설계사가 제안하는 보험보다 무조건 저렴한 다이렉트보험 (0) | 2023.02.18 |
댓글